오늘은 그동안 잠잠했던 제넥신의 근황을 전해드릴까 합니다.
1. 코로나19 백신 GX-19N 임상 진행 상황
제넥신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코로나 백신 GX-19N 임상1상의 환자 투약을 지난달 29일, 모두 마쳤습니다. 20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1상의 결과 데이터는 이르면 3월 초에 확보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임상1상의 결과가 도출되는 즉시, 2a상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GX-19N은 종전 안전성을 검증받았던 임상 물질인 GX-19에, 변이 가능성이 낮은 뉴클리오캡시드 항원을 추가한 물질이므로, 안전성에는 큰 차이가 없어 1상의 결과에 대해 제넥신 관계자들은 큰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적으로 제넥신은 2월 1일 오늘, 현재 진행중인 만 19~55세 대상 임상과는 별개로, 5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한 임상을 추가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제넥신 관계자는 추가 임상 진행은 추후 글로벌 임상 도전을 위한 초석으로, 다양한 인종과 나이대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GX-19N의 안전성 입증에는 큰 장애물이 없어보이지만, 이번에는 예정된 타임라인을 맞출 수 있을지...
2. 네오이뮨텍의 코스닥 상장 일정 연기
지난 1월 29일, 네오이뮨텍의 코스닥 상장 일정이 당초 계획보다 3주 지연된, 3월에야 진행될 것이라고 알려졌습니다.
네오이뮨텍은 공시를 통해 증권신고서 정정과 공모 일정 변경 사실을 알렸습니다. 변동된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요 예측 : 2월 1일, 2일 → 2월 23일, 24일
▷ 청약 공모 : 2월 11일, 12일 → 3월 4일, 5일
▷ 자금 납입일 : 3월 9일
네오이뮨텍의 25%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제넥신은, 네오이뮨텍의 이번 상장을 통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되었는데, 일정 연기로 인해 단기 모멘텀에 타격을 입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네오이뮨텍은 매출이 계속해서 0의 행진을 달리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네오이뮨텍의 면역항암제 NT-I7*의 미래 가치를 반영해 예상 시가총액은 6000억원대로 예상되고 있어 기대감을 모으고 있습니다.
* 제넥신과 공동 개발 중인 물질로, 제넥신의 GX-I7과 같은 물질임.
3. 미국 사모펀드의 제넥신-인도네시아 합작법인 대형 투자!
미국계 사모펀드사인 General Atlantic이 제넥신과 인도네시아 바이오 기업 칼베 파르마의 합작사 KG바이오에 55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제넥신은 인도네시아의 칼베 파르마와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작년 5월에는 GX-19 개발에 협력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GX-I7 임상 2상을 인도네시아에서 승인받기도 했습니다.
이번 General Atlantic의 대형 투자로 인해, 제넥신의 핵심 신약 물질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GX-19N으로 물질을 바꿀 수 밖에 없었던 제넥신의 변
최근 제넥신의 행보와, 떨어지는 주가 속에서 많은 주주들이 비난의 화살을 퍼부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 결과, 제넥신은 다음과 같은 성명서를 홈페이지에 올렸습니다.
① 물질 변경으로 3개월이 지연되지만, 사업적인 측면에서 GX-19N이 유리
- 일정이 지연되어도 코로나가 계절성 질병이 되고 변종의 출현을 고려하면, 새로운 변이체와 T세포 반응을 이끌어내는 GX-19N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 길.
② 항체 없이 T세포 면역만으로 방어 면역 가능
- 코로나19 임상 연구에서 중화 항체가 있어도 T세포 반응성이 낮은 환자가 사망해, T세포 반응이 코로나19 예방에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짐.
- 코로나19 백신이 광범위한 T세포 면역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함.
③ 새로운 변종 출현 상황
- 코로나19는 수많은 변이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영국과 남아공에서 발견된 변이체들이 개발중인 백신 및 치료제의 효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가 제시되고 있음.
- 최근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코로나19의 대유행이 1~2년 주기로 반복될 수 있음.
-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변이체에 대응하고자, 제넥신은 기존 GX-19에 서열 보존성이 높은 뉴클리오캡시드를 추가 탑재해 변이체까지 방어할 수 있는 백신 개발 결정.
④ 코로나-19가 계절성 질병이 되어 매년 백신을 맞아야 할 수도 있다는 예측
- 현재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유지 기간은 4~5개월 정도로 다른 감염성 질환보다 짧음.
- 이로 인해 코로나 백신 또한 독감 백신처럼 매년 접종할 가능성 있음.
- 항체에 비해 T세포 면역반응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넓은 T세포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차세대 백신 개발 필요성이 대두됨.
제넥신의 GX-19의 임상이 헛된 것만은 아님을 밝혔는데, GX-19N은 GX-19 개발을 통해 검증된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하게 되어, 임상 진행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습니다.
제넥신의 주가는 최근 들어 끊임 없는 하락을 이어왔는데요,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뀐 결과물이었던 것으로 사료됩니다.
2020년 7월 이후로 계속 이어오던 10만원 대의 주가는 지난 1월 깨지며, 현재는 99,900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과연 제넥신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바이오 기업은 믿거다 > (과거) 제넥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넥신의 코로나 백신, 임상 2a상 돌입! (0) | 2021.03.02 |
---|---|
제넥신, 코로나 백신 기술수출 임박으로 시간외 상한가! (0) | 2021.02.15 |
제넥신, JP 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의 발표 내용은? (0) | 2021.01.15 |
제넥신 코로나 치료제 GX-I7 임상2상 승인 + 네오이뮨텍 코스닥 상장 통과! (0) | 2020.12.30 |
제넥신 최대 1.7조 미국 기술이전 대형 계약! (0) | 2020.12.27 |
댓글